메뉴

문제에 대한 자기표현

상담&치유-52
심연희 사모
미국 RTP지구촌교회
(이철 목사)

 

부부싸움은 곧잘 별것도 아닌 것 가지고 시작되는데 산으로 올라갔다가 건너지 말아야 할 강까지 이르기도 한다. 왜 싸움이 시작됐는지 기억도 못하는 경우도 태반이다. 싸움이 커지고 지워지지 않는 상처가 됐다고 말하는 부분들은 대부분 시초의 갈등 때문이 아니다. 


싸우다 중간에 던져진 말 때문에 더 열 받고, 그 반동으로 화나서 한 대꾸가 더 큰 싸움으로 이어진다. 이혼도 애초에 문제가 됐던 직접적 원인 때문이라기보다는, 싸워가는 과정에서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되면서 헤어져야겠다는 결론에 이른다. 교회의 갈등도 시작을 따지면 어이없을 정도로 허무한 경우가 태반이다. 그런데 별것도 아닌 작은 불씨가 초가삼간을 다 태운다. 별것도 아닌 시작에 뒤따라오는 반응이 갈등의 방향을 결정한다.


일하며 상사에게 스트레스를 있는 대로 받던 남편이 집에 들어와 애들 시끄럽다고 짜증을 부린다. 들어오자마자 짜증인 남편에게 서운해서 대뜸 애들한테 해주는 게 뭐 있는데 성질이냐고 되받아친다. 졸지에 나쁜 아빠가 된 남편은 너는 잘하는 게 뭐가 있냐고 한방에 날린다. 그렇지 않아도 육아에 살림에 지치고 자존감이 바닥이던 아내는 내가 너 때문에 이러고 산다고 원망을 한다. 열 받은 김에 친구 남편과 비교도 한다. 자존심이 상할 대로 상한 남편은 며느리 노릇이나 똑바로 하라고 언성을 높인다. 아내도 질세라 너네 집안이 정상이냐고 소리를 지른다. 이쯤되면 물건이 날아다녀 깨지기도 하고 서로 밀치기도 한다. 아이들이 자기들 때문에 엄마 아빠가 싸운다고 자책하고 구석에서 훌쩍거리며 엄마, 아빠 중 누구랑 살아야 하나 고민하기 시작한다. 싸움의 시작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피곤한 거다. 스트레스받은 거다. 그런데 싸움의 끝은 이미 산으로 갔다. 한 사람이 피곤한 데서 생긴 문제는 이미 두 사람의 자존심과 자존감을 상처 내고, 친구네랑 배우자 집안 문제까지 번졌다. 아이들에게 보이지 말았어야 할 모습까지 드러내며 온 가족이 만신창이가 된다.


작은 갈등이 번져서 큰 싸움이 되는 모습을 가만히 살펴보면 비슷한 문제가 사이클처럼 되풀이될 때가 많다. 그래서 상담을 통해 이 패턴을 끊어내는 여러 가지 방법을 내담자와 함께 연구하기도 한다. 갈등을 푸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스트레스받고 피곤한 사람이 담백하게 자기가 지치고 힘들다고 말할 수 있다면 싸움이 시작될 확률이 줄 수 있다. 자신의 연약함에 대해 솔직하지 못한 모습에 자존심이 얹어지면서 갈등의 불씨가 지펴진다. 그런데 시작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반응하는 사람의 멘트다. 갈등의 불씨를 어느 방향으로 끌고 갈 것인가가 두 번째 멘트에서 갈린다.


갈등이 진행되는 방향을 단박에 바꿀 수 있는 한 가지 묘약이 있다. 바로 감사이다. 싸움을 걸어오는데 갑자기 생뚱맞게 감사가 나오냐고 할 수 있지만 감사만큼 산불이 될 수 있는 불씨를 한방에 끄는 방법도 없다. 남편이 들어오면서 짜증스러워하면 “기분 별로인 거 보니까 오늘 힘들었나 보다, 애썼네”라고 대꾸할 수 있다.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고마워하는 별것 아닌 말 한마디가 싸움의 불씨를 끈다. 시끄러운 애들 데리고 하루종일 정신없었겠다는 한마디가 지친 아내를 기운 나게 한다. ‘너 때문’이 아니라 ‘당신 덕에’ 이 정도 산다고 하면 남편은 으쓱해진다. ‘우리 부모님 만만치 않은 분들인데 그래도 당신은 잘하고 있는 거야’라고 해 줄 수 있다면 아내는 시부모님께 들은 핀잔도 또 한 번 넘어갈 수 있다.


인정해주고 감사를 표현하는 것만큼 대인관계의 문제를 화해와 축복으로 한방에 바꾸는 방법은 없다. 애교 없고 곰 같은 아내는 감사의 눈으로 보면 진중하고 속 깊은 사람이다. 입맛 까다로운 남편은 감사의 눈으로 보면 요리실력을 늘게 하는 선생님이다. 내가 겪는 고난은 하나님을 깊이 경험하고 의지하게 하는 영적인 축복이 된다. 말 많고 탈 많은 교회는 감사의 눈으로 보면 사랑과 용서를 연습하는 운동장이다. 코로나는 감사의 눈으로 보면 새로운 변화와 개혁의 신호탄이다. 감사의 한마디에 문제가 축복으로 뒤집힌다. 오늘의 갈등을 산으로 끌고 가서 감당 안 되는 산불이 되게 할 것인가, 작은 불씨가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화롯불이 되게 할 것인가는 우리의 결정이다. 문제를 끄집어내는 독설로 성난 불씨를 키울 것인가, 문제를 뒤집는 감사로 불씨를 따뜻하게 지필 것인가는 우리의 선택이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법무법인 성현과 업무협약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4월 2일 서울 여의도 총회에서 법무법인 성현(대표 최재웅 변호사)과 법률 지원에 대한 업무 협약을 진행했다. 이번 협약은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와 관련된 법률적 조언을 비롯해 총회 업무와 관련한 법령 등 법규의 해석을 법무법인 성현이 지원하며 법률 분쟁에 대한 예방 및 대응방안 등을 공유하기로 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이욥 총회장은 “침례교회는 총회 규약과 기관 정관 등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특히 법적인 논쟁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이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법률 자문 기관이 필요하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총회가 보다 사역에 집중할 수 있는 토대가 되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성현 최재웅 대표는 “이번 교단 총회와의 업무 협력 체결로 총회에 대한 법률적 지원은 물론 교단에 속해 있는 여러 교회와 성도들의 개인적인 법률 상담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법무법인 성현은 2016년에 설립했으며 민・형사 사건은 물론 재개발・재건축, 기업인수・합병, 증권, 금융, PF에 관한 사건 등을 수임・처리하며 종합 로펌으로 성장했다. 대표 최재웅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