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분노는 양파 같다

상담소를 찾는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나누는 고민 중 하나는 시도 때도 없이 터지는 분노이다. 자신이 생각해도 별것 아닌 일 로 견딜 수 없이 짜증이 나고 분노를 터뜨리게 된다는 것이다.


저도 왜 그런지 잘 모르겠네요. 너무 쉽게 화가 나고, 일단 화가 나면 잘 가라앉질 않습니다. 얼마 전에는 제가 말하는 도중에 아내가 자기 말을 하느라 제 말을 끊었어요. 그게 얼마나 열이 나는지 소리를 고래고래 질렀어요. 무슨 이야기 중이었는지는 생각도 안나요.”

그냥 다 화가 나요. 세상만사 제 맘대로 되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생각이 들어요. 내가 한 계획이나 생각에 어긋나는 일이 생기면 참을 수가 없어요. 밥 먹어야 하는 시간, 자야하는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정말 짜증이 나요. 내가 놓아둔 자리에 그 물건이 있지 않으면 화가 솟구쳐요.”


사람들은 오만가지의 이유로, 혹은 스스로도 모르는 이유로 화를 낸다. 요즘 버럭버럭 소리 지르거나 까칠하게 구는 나쁜 남자나 나쁜 여자가 멋진 것처럼 미화되기도 한다. 그러다 알듯 모를 듯 은근히 잘해 주면 츤데레캐릭터로 각광받는다. 그러나 드라마에서 그려지는 매력적이 모습과는 다르게, 현실에서 버럭남이나 버럭녀는 남에게 곧잘 상처를 주는 사람들이다.


보통 분노조절이 쉽지 않은 사람들 옆에 있으면 갑자기 날벼락 맞는 기분이 든다. 상대가 왜 갑자기 불처럼 화를 내는지 주위 사람들은 금방 이해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화를 버럭버럭 잘 내는 사람이 있을 때, 그 배우자나 아이들은 늘 살얼음판을 걷는다. 한쪽은 왜 화가 나는지도 모른채 화를 내고, 당하는 쪽은 왜 불안하지 모른 채 끊임없이 불안해한다. 분노(Angry outburst)는 많은 경우 우울증이나 조울증, 불안증 등의 증상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자신의 기분을 표현하는 것에 서툰 한국 남자들에게 슬픔이라는 감정보다 분노라는 감정은 훨씬 편안하고 익숙하다. 너무 슬프다고 말하기보다는 성질을 내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빈둥지 증후군이나 폐경을 겪는 여성들이 무서울 정도로 화를 내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일시적인 호르몬이나 화학적 반응의 불안정 때문일 수도 있고, 계속 지속되어 왔던 정신적 문제, 스트레스 등이 분노로 표출 되는 것이다. 어떤 경우는 늘 짜증이 나는데 그것이 끊임없이 자신을 에워싸는 불안감 때문이란 것을 모르고 있다. 분노 조절 장애와 가정 폭력 에 연관되어 상담소를 찾은 한 내담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아내가 날 닦달해서 땅을 팔아 이 사업을 시작하게만 안했어도 이렇게 화가 나지는 않았을 거에요. 지금 그 땅을 가지고 있었으면 수십 배가 넘는 돈을 벌었을 거라고요. 지금 하는 이 구멍가게와는 비교도 안 되지요. 그 생각만 하면 자다가도 벌떡벌떡 일어나요. 그 돈만 있었으면 내가 지금 사라져도 우리 가족이 걱정없었을 텐데

그런데 이 남자에게 정말 문제가 되었던 것은 돈이 아니다. 자신이 사라졌을 때를 걱정하는 불안감이다. 어릴 때 갑자기 부모를 사고로 잃고 일찍이 혼자서는 법을 익혀야 했다. 어릴 때의 충격 대신 늘 미래를 걱정하는 불안감이 대신 자리 잡았다. 그는 끊임없이 자신이 갑자기 죽었을 때를 상상했고, 그때를 준비하며 살았다. 그런데 자신이 죽었을 때 남겨진 가족이 살만큼 충분한 돈이 모여지지 않았다고 생각하면 견딜 수 없이 화가 났다. 쉬는 날도, 놀 새도 없었다. 늘 가족에게, 그리고 직원들에게 짜증이 났다. 술이 있어야 잠이 들었고, 술에 취하면 상대에게 상처가 되는 말들을 함부로 내뱉었다.


가정 폭력, 술 등은 눈에 보이는 문제였지만, 그의 내 면에 곪아가고 있던 상처의 뿌리는 불안감이자 상실감이다.

우리는 분노와 분노로 인한 행 동만을 보고 사람을 판단하기도 하고 스스로를 정죄하기도 한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오랜 친구 관계에 금이 가고 나서야 내가 대체 왜 그랬을까 후회한다. 내가 쏟아낸 말들을 주워 담을 수도, 부숴버린 집안 기구들을 다시 붙일 수도 없다. 깊은 자괴감에 괴로워하지만 어느 순간 또 자 제력을 잃는다.


분노는 양파껍질과 같다. 분노는 가장 겉으로 보이는 흔한 감정이지만, 그 껍질을 벗겨보면 까도 나오는 여러 가지 색깔의 감정들이 자리한다. 그 안에는 외로움이, 불안함이, 혹은 슬픔이 도사리고 있다. 분노라는 이름 아래에 깔린 또 다른 감정은 아주 뿌리 깊은 죄책감일 수도 있고, 누구도 믿지 못하는 경계심일 수도 있다.

내가 너무 보잘 것 없게 느껴지는 자존감의 밑바닥일 수도 있다.


문제는 분노 뒤에 숨어있는 이 아픔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려고 하지 않는 데에서 온다. 그 아픔을 버럭 화내는 것으로 대체하려 한다. 별 이유도 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쏟아 부은 분노가 사실은 자신 안에 도 사리고 있는 뿌리 깊은 감정적 고통 때문임을 간과하는 것이다. 내 문제를 찬찬히 들여다보지 않고, 그냥 괜한 사람들에게 성질내다 마는 것이다. 그리고 또 똑같은 잘못을 반복하고 후회한다. 시편은 시를 쓴 기자들의 진솔하고 간절한 감정을 그려낸다. 불타는 분노일 때도 있고, 뼈가 마르 는 그리움과 슬픔일 때도 있고, 주체할 수 없는 기쁨과 찬양일 때도 있다. “여호와여 나의 대적이 어찌 그리 많은지요”(3:1)라며 다른 사람에 대한 성토로 시작하기도 한다.


여호와여 주의 분노로 나를 책망하지 마시오며(6:1)’라는 두려움과 죄책감으로 시문을 열기도 한다. ‘내가 탄식함으로 피곤하여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 내 요를 적시나이다”(6:6)와 같은 진한 슬픔을 쏟아내기도 한다. 그런데 하나님께 자신을 다 쏟아내는 이 노래들은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세밀한 감정들을 하나하나 언어로 담는다. 그들은 그 감정을 피하지 않는다.


주님 앞에서 쏟아낸다. 그리고 그 감정들은 위로하시는 주님 안에서 찬송으로 바뀐다. 우리가 화내고 상처주고 있다면, 그 분노가 대체 어디에서 오는지도 모르고 있다면, 이제는 잠깐 멈추어야 하는 때이다. 분노와 하나가 되어 폭발하기보다 한발자국만 뒤로 물러서서 내 분노를 들여다보아야 하는 때이다. 하나님 앞에 이 힘든 마음의 짐을 가지고 가야하는 때이다. 그 감정의 껍질들을 하나하나 벗겨내는 위험하고 아픈 일은 우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시는 아버지 안에서 가장 안전하기 때문이다.


/ 심연희 사모 RTP지구촌교회(미주) Life Plus Family Center 공동대표



배너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