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태복음 5, 6, 7장은 복음인가? 율법인가?

“하늘 붓 가는대로”-75

마태복음 5, 6, 7장을 통칭 산상수훈이라 칭한다. 이 제목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예수님이 산에서 내리신 교훈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교훈이라 하기엔 우리에게 너무 무거운 짐인 듯해서 통칭하던 수훈이라 하지 않고 장수를 말하게 된 것이다. 평상시에는 필자도 산상수훈으로 부담없이 부르고 있다.

예수님이 하신 말씀을 보자.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악한 자를 대적하지 말라 누구든지 네 오른편 뺨을 치거든 왼편도 돌려 대며 / 또 너를 고발하여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 또 누구든지 너로 억지로 오리를 가게 하거든 그 사람과 십 리를 동행하고”(5:39~41) 나눠 줘야 한다는 교훈에 이르러서는 선뜻 실천하기가 그리 쉽지 않은 것 같다.

서강대학교 영문학 교수였던 고 장영희 씨는 그의 에세이 내 생애 단 한 번이란 글에서 다음과 같이 진술했었다. 그는 가톨릭 신자로서 신부가 옆 좌석에 있는 사람들과 각인이 지금 갖고 있는 것으로 서로 나눠 주기를 해 보라고 해서 겪은 경험이라고 했다. 그러자 사람들이 가방이나 주머니를 뒤적거리며 서로 나눌 물건들을 찾기 시작했다. 봉헌금만 가지고 달랑 맨 몸으로 갔던 나는 당황했다. 아무리 주머니를 뒤져 봐도 차 키 말고는 아무 것도 없었다. 차 키를 준다? , 말도 안되지. 그럼 뭐가 있을까? 궁여지책으로 내 몸뚱이에 걸친 것들을 생각해 보았다.


목에 맨 스카프? 100% 실크이니 아마 2~3만원은 할 걸. 귀걸이로 말하자면 금 아닌가. 금 한 돈 쯤 된다쳐도 5만원은 할 것이다. 목걸이는 아마 그보다 더 비싸겠지? 대충 6~7만원? 평상시 숫자라면 백치에 가깝도록 무능한 나의 두뇌가 못 줄 이유를 찾기 위해서는 놀랍게도 섬광처럼 빠른 속도로 내가 지닌 물건들의 가격을 계산하고 있었다. 내 새끼 손가락에 끼워진 실반지, 이것은 가격으로야 얼마 나가지 않겠지만 학생들이 해준 선물이다. 못 주지. 암 못 주고 말고. 그럼 재킷? 낡긴 했어도 내가 제일 좋아하는 옷이고 이 맘때쯤이면 교복처럼 입는 옷이니 그것도 줄 수 없다. 그럼 거기에 꽂힌 브로치? 하지만 세트로 된 것이라 하나를 줘 버리면 나머지는 짝짝이가 될 터라 그것도 못 주겠고.


무소유를 생활철학으로 한 법정스님도 고무신 한 켤레와 그가 손수 만들었다는 나무의자 하나는 끝까지 소유하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했다. 야고보서 2:10을 보자 누구든지 온 율법을 지키다가 그 하나를 범하면 모두 범한 자가 되나니결국 그녀에게는 못 줄 이유만이 자기를 사로잡더라는 고백이었다. 참으로 나누 주기 행위가 힘이 어려운 것이었다. 도대체 예수님이 이런 말씀을 했을 때 우리가 그것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을 전제로 했을까? 예수님은 우리들의 도덕적 실천 능력에 대해 그렇게 무지했을까? 아무래도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그렇다면 실천 불가능한 교훈을 줬을까? 산상수훈의 최정점에 이르면 우리는 못하겠습니다라고 손들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5:48)

어떤 사람들은 할 수 있는 데까지 그냥 최선을 다해 보면 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목표에 이르지 아니한 노력은 죽은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니 소위 산상수훈 의미에 영적 안목이 열리더라는 것이다.

그것은 복음은 아니었다. 그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간 편에서 그것을 실천할 수 없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그럼 그게 뭐냐? 율법이다. 율법이면 어떠하냐?


예수에게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 예수는 율법의 요구 즉 형벌 곧 죽어 주셨다. 우리는 그런 예수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가 구세주시고 죄와 사망과 율법에서 우리를 이끌어 내 주신 주님이시라는 것이다. 우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으면서도 안 한 것도 없다는 사람이 되었다. 우리는 산상수훈대로 하지 않았으면서도 산상수훈을 실천한 사람이라는 인정을 받는다. 즉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말이다. 이게 복음 아닌가? 산상수훈을 아직까지도 율법으로 알고 실천해서 무엇을 얻으려는 불쌍한 사람들을 보면 답답하다. 산상수훈은 그리스도인이 지켜야 할 일상생활 양상일 따름이다.

水流(수류) 권혁봉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