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 생, 나는 북한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시골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일제시대를 살았고 공산치하에서도 살았다. 부모님은 완전 원시적인 농사꾼이었고 어머니는 일제시대부터 예수교장로회 평서노회 소속 반석교회 직심(북한 방언, 열심)있는 집사님이셨다. 아버지는 교회 출석 안하고 농사일에만 열중하셨다. 우리 집은 대농이었다. 일제시대 벼 100가마니를 공출하기도 했다. 1945년 8.15 해방 때, 나는 번석국민학교(초등학교) 6학년이었다. 1946년 3월 반석중학교에 입학했다. 북한에서는 해방 후 인민학교 5년제 학제 개편으로 1946년부터 소학교 6학년생은 중학교 2학년으로, 소학교 5학년생은 중학교 1학년으로 진학하게 됐는데 나는 2학년으로 진학했다. 당시 시골에서는 소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이 거의 없었다. 그리고 여자 아이들은 소학교에도 안 가는 애들이 많았다. 나는 약 50호 되는 시골마을에서 유일한 중학생이었다. 아버지, 어머니는 솔직히 말해서 불학무식한 농사꾼인데 나를 중학교, 고등학교까지 보내주셨다. 그 당시 학교 시험제도는 5점 만점제인데 전과목 5점이면 상급학교에 무시험 입학 특혜를 줬다. 나는 전과목 5점인데 북한 정부에
이응찬의 도움으로 선교사 존 로스의 조선어 실력은 하루가 다르게 늘어갔다. 그러나 역관도 아니면서, 양인과 시종일관같이 지내는 이응찬의 모습에 많은 사람들이 양인의 첩자가 아니냐는 의심을 했다. 결국 이응찬은 관아에 고발당했다. 이응찬을 관아에 고발한 사람들은 평소 이응찬에 대한 악감정을 갖고 있던 고려문의 무역 상인들이었다. 그들은 처음에는 압록강에서 풍랑을 만나 쫄딱 망하게 된 이응찬의 불행을 고소해 했지만, 이후 양인을 만나 적당히 돈도 벌며, 행색이 좋아진 이응찬을 질투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 아프다’는 속담이 있듯이, 남이 잘 되면 축하 및 격려해 줘도 모자랄 판인데, 남이 잘 되는 것을 보지 못하는 그 무리들의 심성이 고약했던 것이다. 일부 사람들은 ‘사촌이 땅을 사면 배 아프다’는 속담이 한국에만 있는 줄 안다. 그래서 그만큼 한국인들은 이기적인 민족이라고 비논리적인 자국 혐오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우물 안 개구리’라는 다른 속담과 완벽하게 부합되는 것이다. 실제로는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기 때문에, 다른 국가, 다른 지역, 다른 민족 내에서도 이런 현상과 말은 자주 일어난다. 일본어에는 이런 심리를 가리키는 ‘메시 우마(メシ ウ
2. 말콤 펜윅의 기독교적 애국활동 : 대한노래(1906) 지금까지 발견된 역사적 문헌에서 찾을 수 있는 침례교 항일운동의 효시(嚆矢)가 서울에서 개최된 초교파적 위국 기도회에 서울의 침례교인들이 참여한 것에서 비롯됐다면, 침례교 항일운동의 사상적 토대는 “한국침례교의 아버지”라 일컫는 말콤 펜윅의 기독교적 애국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는 1889년에 평신도로 내한했다가 1893년 귀국했고, 이후 목사 안수를 받은 후 1896년에 재차 내한했다. 원산에서 활동하던 펜윅은 일제의 내정 간섭으로 점차 그 힘을 잃어가는 대한제국을 바라보며 1906년 8월에 “My Country Tai Han”(내 나라 대한)이라는 애국적 사상이 담긴 가사의 노래를 발표했다. 가독성을 위해 원문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자가 현대어로 고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한노래> (1절) 우리 대한나라 대한국을 위해 노래합세. 열성조 나신데 또 돌아가셨네. 모든 산 곁에서 노래합세. (2절) 우리 대한 이름 어찌 사랑할까? 우리 대한 그 산과 골이나 그 강과 수풀 다, 사랑하는 우리 노래합세. (3절) 걱정하지 말고 하나님만 의지 성자 믿세. 구주 믿는 백성 성경
지금이 어떤 시대입니까? 두려움과 절망으로 사방에 둘러싸여 있다면 ‘평강하다’ 할 수 있을까요? 제가 읽은 책에 우리 현실을 직시한 목회자의 심정 고백이 나옵니다. 그분은 자신이 미국의 문화막시즘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번역하면서 느낀 안타까움을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그런데 이 다큐(=‘문화막시즘 미국의 타락’)를 번역하다 보니 그게 아니었다. 안토니오 그람시의 문화를 통한 ‘긴 행진’이라는 사악한 전략이 그 모든 왜곡된 사회현상 밑에 잠복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됐다…이상이 오늘날 우리 한국의 명백한 현실인데도 국민들, 특히 하나님의 백성들을 바르게 지도해야 할 목회자들이 까마득히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오태용, ‘문화막시즘 미국의 타락’ 예레미야 선지자가 활동하던 유대 사회는 ‘평강하다’ ‘평강하다’는 거짓 선지자의 메시지가 빈번히 선포되던 시대였습니다(렘 8:10~11). 여호와의 성전 뜰에 서서 외친 예레미야의 예언은 정반대로 ‘두려움과 재앙’이었습니다(렘 19:15). 그러자 여호와의 성전 총책임자인 바스훌은 분노하며 예레미야를 때리고 착고 씌워서 투옥시켰습니다. 다음날 예레미아가 착고를 벗고 옥에 나왔을 때 바스훌 앞에서 예언, 경고합니다. “여호와
조던 피터슨, 스티븐 힉스와 같은 학자들이 강조하듯이, 프랑스 포스트모더니즘은 포스트막시즘, 문화막시즘입니다. 자크 데리다, 미셀 푸코 등 대부분 포스트모던 철학자들과 근래에 젠더이데올기를 통한 양성해체와 성 정치의 기수 주디스 버틀러에 이르기까지 모두 급진적 문화혁명 전사, 네오막시스트입니다. 유럽과 미국은 신좌파가 선전하는 글로벌 성 혁명, 문화혁명에 무너져갔습니다. 이렇게 유럽에서 급속도로 번지는 공산 사회주의 운동과 문화막시즘의 위험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경고음을 울린 학자들이 있습니다. 프랑스의 레이몽 아롱은 ‘지식인의 아편’이란 책을 써서 프랑스 좌파 이데올로기에서 전염병처럼 번진 반미주의에 반대하면서 자유주의의 덕목들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변증법에 의해 필연적으로 도래하는 무산계급의 시대가 억압된 자들을 해방시킨다는 공산주의 이론은 사이비 종교와 같다.…진보라는 이름을 내세워 민중을 잘못된 길로 몰아세우는 좌파 지식인은 ‘막시즘’이라는 아편의 중독자다. 객관성, 보편성과 소통하지 못하는 사상으로 억지요, 고집일 뿐이다. 독일의 틸로 자라틴 박사는 그가 속했던 좌파와 68세대들의 노선으로부터 결별했습니다. 자라틴 막사는 제2차 세계대전
이러한 좌파적 신념의 역사로 시작된 프랑스혁명은 그 후 연속되는 무신론적 인본주의 혁명의 뿌리가 됩니다. 하나님을 인간 이성으로 대체하고 새로운 인간 종교를 창시하기 위한 무신론적 인본주의의 혁명입니다. 진보세력의 공모자들 스스로 ‘하나님 없는 인간’(l’HSD, l’homme sans Dieu)이라고 자처했습니다. 소설 ‘1984’의 작가로 유명한 조지 오웰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과거를 지배하는 자가 미래를 지배한다.” 1789년 프랑스혁명은 반(反기)독교적 사상에서 비롯된 혁명의 정신을 파리 자유의 여신상처럼 우상시합니다. 이들이 내세우는 혁명은 또 역사적으로 반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프랑스혁명은 신좌파(neo-Marxist) 혁명세력에 의해서 또 한 번 인본주의 이데올로기로 중무장하고 온 세계로 포문을 열게 됩니다. 바로 1968년에 일어난 프랑스 68혁명입니다. 역사적으로도 이 68문화혁명은 현대주의로부터 엄청난 파급·파괴력을 지닌 포스트모더니즘시대로 옮아가는 혁명을 알리는 불꽃 신호탄과도 같습니다. 2. 프랑스68혁명은 앞선 혁명과 ‘부전자전’ 프랑스혁명 이후 인본주의 모더니즘 시대는 프랑스68혁명을 거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로 전환됩니
셋째로, 과일 재배법을 한국인에게 전수해 조선의 농업기술 진흥에 기여했다. 펜윅이 과일 재배와 농사법을 전수한 첫 번째 제자가 윤병수(尹秉秀, 1867-1944)이다. 사실 윤병수는 펜윅의 농장 견습생이 되기 이전 1885년 10월 25일에 원산항(元山港) 장무관(掌務官)으로 임명받아 약 2년 6개월간 벼슬아치로 일했다. 공무원이었던 윤병수는 원래 묘목 재배에 관심이 많았는데 펜윅을 만난 이후부터 새로운 인생길을 걸으며 과수 재배 전문가로 성장하게 됐다. 그렇다면 윤병수가 펜윅의 과수원 제자가 맞는지, 언제부터 견습생이 됐는지, 학농원(學農圓)을 세워 언제쯤 자립했는지, 그리고 개화기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궁금하다. 이에 관해 여러 자료가 있는데 연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하나씩 살펴보기로 하겠다. 1) 1909년 3월 14일자 황성신문 기사 첫째가 1909년 3월 14일자 황성신문의 기사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원산거(元山居) 윤병수씨(尹秉秀氏)는 원래(元來) 종식업(種植業)에 유지(有志)ᄒᆞ야 거(去) 광무(光武) 팔년(八年)붓터 당지(當地)에 주거(住居)ᄒᆞᄂᆞᆫ 영국(英國) 목사(牧師) 편위익씨(片爲益氏)에게 종예술(種藝
“미국 혁명의 원리와 프랑스 혁명의 원리가 닮았다는 것은 정숙한 청교도 가정의 어머니와 추문을 다루는 프랑스 소설의 부정한 여인이 똑같이 닮았다는 것과 같다. …참으로 19세기에 프랑스보다 더 슬픈 역사를 가진 나라는 없습니다.” <아브라함 카이퍼, ‘칼빈주의 강연’ 중> 유럽 역사에서 비극의 역사로 기억되는 1789년 프랑스 혁명은 현시대의 기독교의 위기 측면에서 볼 때도, 치명적 위기를 불러온 중차대한 사건입니다. 제임스 에머리 화이트는 이 때를 두 번째 타락이 있었던 때라고 강조합니다. 첫 번째 타락은 에덴동산에서 쫓겨날 때입니다. 두 번째 타락은 프랑스 혁명 시기로, 서구사상사와 문화사에서 도로 메꿀 수 없는 깊은 틈이 이때 생겨났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역사는 근대 프리모던(Premodern)에서 현대 모던(Modern)으로 넘어갑니다. 그리고 그 후에도 현대모던에서 포스트모던(Postmodern)으로 넘어갈 때도 또 한번 공포의 혁명이 프랑스에서 재발합니다. 앞에서 첫 번째는 1789년의 급진적인 정치적 혁명이고, 그 다음 두 번째는 1968년의 문화혁명입니다. 이렇게 프리모던에서 모던으로 포스트모던으로 운명의 역사를 결정하는 배경에
디딤돌교회(임성도 목사) 국내선교회(회장 이창종 장로) 40여 명의 전도대원은 지난 5월 18일 경북 포항에 위치한 동해제일교회(김위수 목사)에 국내 농어촌교회 전도 지원을 전개했습니다. 동해제일교회는 1916년에 세워진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한 작은 어촌 마을에 위치한 교회입니다. 지난 2023년 새로 김위수 목사가 부임해 교회와 지역에 대한 애정과 헌신으로 온 열정을 쏟고 있었습니다. 교회 선교회 임원들은 사전에 포항에 내려가 교회의 상황을 살피고 전도를 비롯해 교회 리모델링, 내부 정리, 동네 환경 미화 등의 필요를 조사하고 리모델링은 현지 사업자를 통해 진행하기로 했으며 그 외의 부분은 디딤돌교회 전도 대원이 감당하기로 했습니다. 대전에서 포항까지의 거리는 먼 거리였기에 새벽예배를 마친 후, 새벽 6시 30분에 모든 전도 대원은 차에 몸을 실었습니다. 3시간 30분의 이동시간 동안 선교회장으로 헌신하고 있는 이창종 장로의 인도로 모든 대원을 한 사람씩 소개하고 인사하는 시간을 가지며 9세 어린이부터 78세 장로까지 모든 전도 대원은 하나가 될 수 있었습니다. 디딤돌교회 전도 대원들은 동해제일교회에 도착했을 때, 김위수 목사와 강영숙 사모, 동해제
둘째로, 비즈니스 영성이 돋보였다. 비즈니스 영성이란 선교사가 사업을 할 때 돈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 경영에 초점을 두고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액츠비즈니스 선교회는 비즈니스 선교사의 영성 6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1) 비즈니스 선교사의 정체성, (2) 신앙에 대한 이해와 자기부인의 길, (3) 하나님의 마음과 복음전도자의 길, (4) 모든 소유를 주께 드린 청지기적 삶, (5) 세상의 전문가로서의 뱀 같은 지혜, (6) 세상 중에서 지키는 비둘기 같은 순결. 이런 면에서 펜윅은 비즈니스 영성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펜윅은 이런 비즈니스 선교사의 영성 6가지를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2010년에 허긴 박사 은퇴기념논문집에 기고한 “펜윅의 영성”에서 비즈니스 선교사 펜윅의 영성 4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1) 경건의 생활, (2) 성경에 대한 확신, (3) 증인의 삶, (4) 윤리적․도덕적 민감성. 펜윅은 원산 농장 10만 평을 매입한 후 부자 선교사였지만 하나님 나라 시각으로 물질을 사용했다. III. 펜윅의 비즈니스 선교가 한국침례교회와 한국사회에 끼친 영향 지금까지 펜윅의 평가를 보면 펜윅이 근본주의 신학과 세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