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몇 회에 걸쳐 일제강점기 한국침례교의 항일운동사에 대해 개괄적으로 진술했다. 이제는 신사참배 거부로 일제에 의해 수난당한 교단 대표 32인에 대해 언급하려고 한다. 그 순서는 예심에 회부된 9명을 먼저 언급하고, 비록 기소유예 처분으로 풀려났으나 감옥에서 동일한 고초를 겪은 23명에 대해 다룰 것이다. 이종근 목사(李鍾根, 1891-1945) 이종근은 1891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5형제 중 맏아들로 출생했는데, 그의 집안은 대대로 양반 가문이었고, 부친은 지역의 유명한 한학자요 선비였다. 이런 배경으로 그는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했고, 유년 시절은 북만주의 소란대미에서 보냈다. 그는 의지가 굳건하여 무엇이든지 결심하면 꼭 하고야 마는 성격으로 인해 마을 어른들과 친구들로부터 “의지의 사나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1908년(17세) 함경북도 경흥과 간도를 순회하던 펜윅이 간도에서 이종근에게 복음을 전했고 그는 이내 개종을 했다(이때 최성업, 이종만, 장진규 등도 함께 개종). 펜윅의 간도 순회 이후 1909년부터 간도지역 전도가 활발하게 이뤄졌고, 이후 부흥하기 시작해 제4차 대화회(총회) 때에 간도구역이 설정됐다. 그는 입교 초기부터 교회 생활
제8 피고인 신성균(平山聖均)은 어렸을 때 서당에서 수년간 한문을 배운 후 농업에 종사하던 중 동아기독교회의 교리 신조를 따라 타이쇼(大正) 5년(1916년) 침례를 받고, 그 교인이 됐고, 동 12년(1923년) 교사가 됐고, 다음 해(1924년) 목사로 선임되어서 현재에 이른 자이다. 쇼와(昭和) 16년(1941년) 5월 15일부터 쇼와(昭和) 17년(1942년) 9월 상순 경까지 소속되어 있던 경상북도 영일군 송남면 광천리 광천교회에서 매 일요일 예배의 때 신자 이OO 외 약 30명에게 전기와 같이 설교를 했다. 제9 피고인 박성도(竹山成道)는 경성 기호중학교를 중퇴한 후 서당 교사, 농업에 종사하고 있던 중 동아기독교회의 교리 신조를 따라 메이지(明治) 44년(1911년)경 침례를 받고, 그 교인이 되어 타이쇼(大正) 13년(1924년) 감로가 됐고, 쇼와(昭和) 14년(1939년) 4월 목사에 선임됐다. 이후에 함경북도 함흥 종성에서 구역을 담당하고 현재에 이른 자이다. 쇼와(昭和) 16년(1941년) 5월 15일부터 쇼와(昭和) 17년(1942년) 9월 상순경까지의 기간 중 관할하는 구역인 나진교회 등에서 매월 1회 평균 예배 시 신자 김태복 외
그동안 연재 글을 접한 분들은 개신교 기준으로 최초의 한글 성경 번역이 스코틀랜드 출신의 존 로스 선교사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천주교 기준으로는 “성경직해광익”이 최초의 한글 성경 번역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한국의 그리스도인이자 목사라면 자신있게 얘기할 수 있는 역사적 지식이 자리 잡은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존 로스와 천주교의 한글 성경 번역이 신약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궁금한 것이 있다. 과연 구약 성경은 누가 최초로 번역했을까? 그 인물이 바로 알렉산더 피터스 목사다(1871. 12.30~1958. 6. 29 한국명 : 피득). 피터스 목사도 신약 성경을 번역한 존 로스와 마찬가지로 한글 성경 번역에 있어 공적이 큰 인물이다. 알렉산더 피터스의 본명은 ‘이삭 프룸킨’(Aisik Frumkin)이며, 1871년 러시아 제국, 지금의 우크라이나 드니프로(Dnipro)에서 태어났다. 이삭 프룸킨은 정통파 유대교(Orthodox Jew) 가정에서 태어나 자랐다. 아버지의 이름은 ‘루벤 프룸킨’(Reuben Frumkin)이고 어머니는 ‘레베카 카이다놉스키’(Rebecc
또한, 9인의 피고인의 범죄사실에 대해서도 공통으로 “그리스도의 재림과 심판 및 천년왕국의 출현을 기원한 내용의 설교를 했다.”라고 지적했는데, 9명 각각의 죄명에 대해 다음과 같다. 제1 피고인 이종근(中山川行)은 어렸을 때 서당에서 수년간 한문을 배우고, 성장해 농업에 종사하던 중 동아기독교회의 교리 신조를 따라 타이쇼(大正) 2년(1913년) 침례를 받고 교인이 됐고, 타이쇼(大正) 8년(1919년) 교사가 됐고, 타이쇼(大正) 12년(1923년) 목사가 됐고, 쇼와(昭和) 12년(1937년) 3월 감목으로 선임되어 현재에 이른 자이다. 함경남도 원산 영정 소재의 동 교회 총부에 있어서 (1) 쇼와(昭和) 16년(1941년) 8월 중으로 날짜는 상세하지 않지만 원로인 피고인 전치규 전 감목, 명예 목사인 피고인 김영관 외 4명을 소집하여 재만 지방교회가 만주국 기독교국에 포섭 통합하고자 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하여 방책을 협의했고, 그 실행위원으로 하여금 피고인 전치규 외 3명을 만주에 파견할 것을 결의해 보냈다. (2) 쇼와(昭和) 16년(1941년) 5월 15일부터 쇼와(昭和) 17년(1942년) 1월 상순경까지 3회에 걸쳐 조선 내 각 구역에 포교
존 로스가 관아의 추적을 피해 안식년을 앞당겨 본국으로 귀국했다고 해서, 한글 성경의 번역이 멈추게 된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존 로스와 함께 한글 번역에 참여했던 또 다른 인물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사람은 매킨 타이어 선교사였다. 매킨 타이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에든버러의 장로교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1871년에 중국 선교사로 파송되어 존 로스와 동역하게 됐다. 한편 1872년 중국으로 올 때 존 로스 선교사는 아내는 임신 중이었고, 존 로스의 아내는 오랜 여정과 당시 중국의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급격하게 건강이 악화됐다. 이런 안타까운 사정으로 아내 스튜어드는 아들(드러먼드)을 출산한 후 세상을 떠나게 됐다. 가정의 큰 위기를 만났지만, 존 로스는 선교를 포기하지 않았고, 홀로 아이를 양육하며 사역을 감당했다.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빠의 상황을 안쓰럽게 여기던 넷째 동생 캐서린은, 오빠와 조카를 돕기 위해 스코틀랜드에서 중국으로 오게 됐다. 기록을 보면, 존 로스가 여동생 캐서린에게 먼저 도움을 요청했다. 아무리 조카라지만, 미혼의 몸으로 영국에서 먼 타국까지 와서 아이를 본다는 것이 지금으로서도 쉬운 일이 아닌데, 과거 19세기에는 더 쉬
기독교한국침례회 서경지방회 신앙고백서는 2000년 6월 14일 미국 남침례교총회(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이 채택한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Baptist Faith and Message)”를 원안으로 하되, 1833년 선교를 목적으로 모였던 미국 최초의 침례교 총회였던 삼년차 총회(Triennial Convention)가 채택했던 “뉴햄프셔 신앙고백서(New Hampshire Confession of Faith)”와 1856년 남침례교신학대학원(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이 채택했던 최초의 남침례교신앙고백서인 “원리들의 요약(Abstract of Principles)”을 참조했음을 밝힙니다. 1. 성경 성경은 하나님께 영감받은 사람들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하나님의 가르침을 완벽하게 담고 있는 보물입니다. 성경의 저자는 하나님이시며, 그것의 목적은 인간의 구원이고, 그 내용에 어떤 오류도 섞여 있지 않은 진리의 말씀입니다. 성경은 모든 구원받는 지식과 믿음과 순종의 유일하고 확실하며 권위 있는 규칙입니다. 성경은 지금부터 세상 끝날 때까지 기독교적인 연합의 참된 중심이며, 모든 인
카리브해를 품는 중보기도 카리브해 지역의 교회들이 세속적인 부정적 영향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교회 지도자들이 성경적 원칙을 지키지 않음으로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믿는 자들 사이에서 속임수의 영이 물러가고 분별의 영이 임하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교회 지도자들이 경건한 원칙을 굳게 지켜서 사람들을 성경적 기준을 세우며 사람들을 바르게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수십년간 빈곤과 자연재해, 정치적 불안정에 시달려 온 아이티에서는 2021년 대통령 암살 이후 갱단이 활개를 치며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극도로 불안한 상황에서 난민이 된 여성들은 난무하는 성폭력으로 끔찍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이티에 평화와 안정을 이끌 지도자를 속히 세워주시기를 기도해주십시오. 난민 여성과 주민들의 기본적인 인권이 보호받을 수 있는 날이 속히 오기를 간구해 주십시오. △ 빈곤과 자연재해, 정치적 불안으로 늘 아픔을 가지고 있는 카리브해 여러 나라들을 긍휼히 여겨 주시옵소서. 이들을 바로 세워야 할 교회가 세속적인 영향을 받아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불쌍히 여겨 주옵소서. 간구하오니 교회의 지도자들이 성경적 원칙을 지키도록
아프리카를 품는 중보기도 아프리카 전역에서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중독 문제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몇 년 전 기사에는 아프리카 10대 청소년 중독 비율이 9%에 달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진통제나 콜라에 아편 성분을 넣어 마시는 ‘마약’ 진통제가 유행처럼 번지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중독으로부터 사람들을 해방시키고, 교회가 이 악순환을 끊을 수 있도록 교육하고 준비하는 역할을 감당하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대부분의 인신매매는 분쟁과 테러가 빈번한 국가의 국경지역에서 발생합니다. 아프리카 사헬 지역이 그러한 예입니다. 이곳의 난민들은 강제 이주로 인한 불안과 불법 여권에 대한 과도한 비용, 범죄 등을 해소하기 위해 인신매매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인신매매를 지속하는 네트워크가 발견돼 중단되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피해자들이 치유되도록 기도하며 인신매매에 취약한 환경에 있는 난민들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 아프리카 전역에서 청소년들이 중독에서 해방되도록 도와주시옵소서. 교회가 이 악순환을 끊을 수 있도록 교육하게 하시고 청소년과 지역사회에 선한 기준을 제시하게 하옵소서.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의 도우심으로 중독된 이들이 치유받고 회복되어 새로운
1943년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검사국 사상부가 편집한 “조선중대사상사건 경과표”에 의하면, 9월 말 시점으로 31건(동우회 사건, 등대사 사건, 황국교 사건, 신사불참배교회 재건운동 사건, 신인(神人)동맹 사건, 무극대도교 사건, 삼산교사건, 천자교사건, 선교(仙敎)사건 등)의 중대한 사건과 그 내용을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곳에 “동아기독교 사건”을 언급했는데, 예심에 회부된 9인의 범죄 요지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함남 원산부에서 그리스도(基督)를 절대무이한 권위자로 높여 소위 말세론(末世論)을 기초로 그리스도(基督)의 재림(再臨)함으로서 천년왕국(千年王國)이 실현된다는 것을 굳게 믿어 궁극적으로 우리 국체(國體)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황실(皇室)의 존숭(尊崇)을 모독하는 사항(事項)을 유포할 목적으로 한 동아기독교의 결사에 가입하고, 그 결사의 임원 및 신도로서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하고 있음(수리 인원 32명).”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검사국 사상부는 교단 대표 32인 중 9인을 기소해 예심으로 회부했다. 그리고 이들의 죄목을 밝힌 후 이를 “동아기독교 사건”이라고 명명했다. 이로 보건대, 교단 지도자들의 신사참배 거부를 단순
지난 10월 한글날을 기념해 기독교를 비롯한 각계 언론에서 한글에 영향을 끼친 선교사들을 일제히 보도했다. 예를 들어 지금 연재하고 있는 ‘개신교 최초의 성경 번역자’인 ‘존 로스’와 ‘띄어쓰기, 마침표, 쉼표’를 도입하게 된 ‘헐버트 선교사’에 대한 이야기를 학계 인사들을 통해 중점적으로 다루기도 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이런 기사들은 없었지만, 우후죽순처럼 관련 기사들이 생겨 고무적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학계와 언론 중 일부는 정확한 역사적 사실을 모르고 단지 겉핥기나 무지에 가까운 식으로 주장하는 이들도 있어 실소를 금치 못했다. 그러나 어쨌든 ‘모로 가도 서울이라’고, 우리가 더욱 쉽게 한글을 사용할 수 있었던 배경이, 서양 선교사들의 공헌에 있었다는 것을 드넓게 알리는 점은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여겨진다. 조선의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를 하면 할수록, 무엇을 깨닫는지 아는가? 어둠에 있던 조선을 빛으로 인도한 선교사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만이 가슴에 떠오른다. 특별히 앞서 언급한 헐버트 선교사는 생전에 한국의 광복을 보게 됐고 1949년 7월 29일, 광복절을 맞아 국빈으로 한국에 초대되어 약 40년 만에 해방된 한국 땅을 밟게 되지만 기관지염으